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 및 신청 방법 총정리

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갑작스러운 실직은 누구에게나 부담스러운 일입니다. 하지만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실업급여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법, 지급 기준, 신청 방법 등을 상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. 1. 실업급여란?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가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실직했을 경우,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일정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이는 구직급여 와 취업촉진수당 으로 구성되며, 일반적으로 구직급여를 의미합니다. 2. 실업급여 수급 조건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 이직 사유 : 본인의 귀책사유(중대한 잘못) 없이 비자발적으로 퇴사해야 함 (권고사직, 계약 만료 등) 고용보험 가입 기간 : 이직 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함 적극적인 구직 활동 :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정해진 횟수만큼 구직활동을 해야 함 3. 실업급여 지급액 계산 방법 실업급여 지급액은 기본급여일액 × 지급일수 로 계산됩니다. 기본급여일액 = 평균임금의 60% 평균임금: 퇴직 전 3개월간 받은 총 급여 ÷ 해당 기간의 총 일수 지급일수 = 연령 및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름 📌 2025년 기준 실업급여 하한선과 상한선 상한액: 1일 66,000원 하한액: 1일 66,000원의 80% (약 52,800원) 💡 예시 계산 평균임금: 300만 원 기본급여일액: 300만 원 × 60% ÷ 30일 = 60,000원 지급일수: 240일 (가입 기간 5년 이상, 50세 미만 기준) 총 실업급여: 60,000원 × 240일 = 1,440만 원 4.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법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실업급여 예상 지급액을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 ✅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( https://www.ei.go.kr ) '실업급여 모의계산' 메뉴 클릭 본인의 근무기간, 월급 입력 자동으로 예상 실업...